
수술 대상: 3~5D 근시, 1~2D 난시의 20대 성인
이번 보고서에서는 근시 -3~-5 디옵터(D)에 난시 -1~-2D를 가진 20대 성인 환자를 가정하여, 해당 환자에게 적용 가능한 스마일라식(SMILE), 스마트라식(Smart LASIK) 및 스마일프로(SMILE Pro) 수술을 비교합니다. 이 범위의 중등도 근시와 경도 난시는 세 수술 모두에서 교정 대상에 포함되며, 각막 두께 등 조건만 충족되면 모두 시행 가능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20대 성인은 각막 회복력이 양호하고 노안이 없는 연령대로 시력교정술의 대표적인 대상군입니다. 따라서 세 수술 모두 3~5D 근시 및 1~2D 난시 교정에 적합하며, 이후 각 수술의 기술, 장단점, 임상 성능을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스마일라식(SMILE: Small Incision Lenticule Extraction)
스마일라식(SMILE)은 각막 절편(플랩)을 만들지 않고 각막 실질 내에 얇은 렌티큘(조각)을 펨토초레이저로 분리한 후 작은 절개창을 통해 이를 적출하는 3세대 시력교정술입니다. 2007년 첫 임상 적용 후 2011년 상용화되어 현재 전 세계적으로 널리 시행되고 있습니다. 주요 특징과 장단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수술 원리 및 기술: 지름 약 6~7mm의 렌티큘을 각막실질 내에 레이저로 절개하고, 각막 주변부에 약 2~4mm 정도의 사이드 절개창을 만듭니다. 수술자는 미세기구를 통해 그 절개창으로 렌티큘을 분리 및 제거하여 시력을 교정합니다. 각막 표면의 대부분(보우만막 포함)이 보존되고 20mm 길이의 큰 플랩 절개가 필요 없다는 점이 LASIK과의 큰 차이점입니다.
- 장점: 각막신경 손상이 최소화되어 안구건조증 발생이 적고 회복이 빠릅니다. 각막 생체역학적 안정성이 더 잘 유지되어 각막 확장증(배큇탸시아) 위험을 줄인다고 보고되었습니다. 실제로 SMILE 도입 이후 보고된 후기 각막확장증 사례는 극히 드물며, 대부분 숨어있던 원추각막 등의 소인을 가진 경우였습니다. 또한 각막 절삭면의 광학존이 크고 균일하여 고위수차(빛 번짐 등의 원인)가 LASIK 대비 적게 유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수술 다음날 95% 이상 일상생활 복귀가 가능할 정도로 회복도 빠릅니다.
- 단점: 초기에는 술기가 LASIK보다 익히기 어렵고, 렌티큘 분리 과정이 숙련도를 요합니다. 드물지만 흡인 중단(suction loss)이나 렌티큘 잔여편 등의 합병증 가능성이 있는데, 이 경우 재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합병증 발생률은 극히 낮고 숙련된 술자에서는 1% 미만으로 보고됩니다. 또한 현재(2025년 기준) 미국 FDA에서는 SMILE를 근시 및 난시 교정에만 승인하였고 원시 교정은 승인되지 않아 적용 범위에 제한이 있습니다.
- 임상 성능: 다수의 연구에서 라식(LASIK)에 필적하는 시력교정 효과와 안전성이 입증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미군 대상 연구에서 3개월 후 무교정시력(UDVA) 20/20 이상 달성률 96%, 수술 전 교정시력 대비 효율지수 0.96, 안전지수 1.03이 보고되었습니다. 10년 장기추적 연구에서도 10년 후 20/20 이상 시력 유지율 약 85%로 초기 대비 약간 감소했으나(92.8% → 84.6%), 효과지수 1.02 → 1.03, 안전지수 1.15 → 1.33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 없이 안정적임이 확인되었습니다. 다만 장기간에 걸쳐 약 -0.16D 정도 근시가 다시 진행되는 미미한 시력퇴행이 관찰되었으나 임상적으로 큰 영향은 없는 수준이었습니다. 전반적으로 예측도도 높아 목표 굴절력 ±0.50D 이내 도달률이 90% 안팎으로 보고되고 있어, 중등도 근시/난시 교정에 매우 높은 성공률을 보입니다.
스마트라식(Smart LASIK: SmartSight 등)
스마트라식은 정확히 말하면 특정 수술명이 아니라, 최신형 펨토초레이저를 이용한 렌티큘 추출식 시력교정술을 지칭하는 국내 용어입니다. 유럽 등지에서 개발된 SmartSight(슈빈트사의 ATOS 레이저 장비) 기술을 국내에서 “스마트라식”으로 부르며, 기존 스마일라식과 동일한 렌티큘 추출 방식을 따릅니다. 즉, 각막에 작은 절개창을 내고 렌티큘을 제거하는 플랩리스 수술이라는 점에서는 스마일라식과 같지만, 사용 장비와 기술적 세부가 다릅니다. 주요 특징과 장단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수술 원리 및 기술: 슈빈트(Schwind) 사의 ATOS 펨토초 레이저로 각막 내 렌티큘을 형성하고 추출하는 방식입니다. VisuMax (Zeiss) 장비로 시행하는 스마일라식과 기본 개념은 동일하나, 레이저 발진 속도 4MHz의 고속 레이저, 100nJ 미만의 저에너지 펄스를 사용하고, 비대칭 점 간격 스캔 패턴 등 여러 공정 개선이 적용되었습니다. 또한 지능형 안구 추적 및 사이클로토션(눈 회선) 보정 기능이 탑재되어 있어 각막 중심 정렬과 난시축 보정이 자동화되었습니다. 이러한 기술로 렌티큘 두께 최소화(별도 최소두께 받침대 불필요), 중앙부부터 절개(센터→아웃) 등 차별화된 절삭 프로토콜을 구현합니다. 결과적으로 레이저 절삭면이 매우 매끄럽고 균질하여 렌티큘 분리가 용이하며, 각막 부종도 최소화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 장점: 스마일라식의 모든 장점(무릎개, 저건조증 등)을 계승하면서 기술적 업그레이드를 이룬 것이 최대 장점입니다. 예를 들어 안구중심 정렬과 난시축 보정이 자동화되어 술자 의존성이 줄고 절개 중심의 정확도가 향상되었습니다. 또한 레이저 에너지 감소와 분할 패턴 최적화로 각막 미세반응(혼탁 등)을 줄이고 조직 손상을 최소화하였습니다. 실제로 초기 연구에서 수술 직후 각막 혼탁이나 부종이 적고 시력회복이 빠름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안구건조증 발생도 매우 낮아 LASIK보다 유리한 것은 물론, 기존 스마일라식과 동등하거나 더 낫다는 견해도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시력의 질이 우수하고 수술 후 환자 만족도가 높다는 것이 초기 도입한 안과 전문의들의 평입니다.
- 단점: 기술이 새롭게 상용화(유럽 CE 인증 2020)되었기 때문에 장기 임상데이터가 상대적으로 부족합니다. 스마일라식이 15년 넘는 기간 동안 500만안 이상 시행되며 안정성을 입증한 반면, SmartSight 기반 스마트라식은 2020년대 초반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여 임상 경험이 제한적입니다. 이에 따라 아주 드문 합병증이나 5년 이상 장기 결과 등에 대해서는 향후 추가 데이터가 필요합니다. 또한 2025년 현재 미국 FDA 및 일본 PMDA 승인을 받지 못해 일부 지역에서는 이용이 제한됩니다 (주로 CE 인증을 받은 유럽, 한국 등에서 도입).
- 임상 성능: 초기 단기 결과는 스마일라식과 동등한 시력교정 효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12개월 추적 연구에서 90% 이상의 눈이 목표 굴절 ±0.5D 이내에 들었고, 93%에서 나안視力 1.0(20/20) 이상을 얻었으며, 어떤 눈도 교정시력 2줄 이상 감소하는 심각한 부작용은 없었습니다. 3개월 연구에서도 20/20 달성률 약 98%, 효율·안전 지수 ~1.0으로 양호하였고, 난시 교정 정확도 또한 기존 대비 향상된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수술 후 각막혼탁이나 고위수차 증가도 최소 수준이며, 특히 저에너지로 인한 각막 신경 보존 효과로 건조증이 적음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다만 앞서 언급한대로 아직 장기(예: 5년 이상) 결과 데이터는 제한적이므로, 현 시점에서는 “LASIK/스마일만큼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잠재적으로 일부 품질 지표는 개선되었다”는 정도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스마일프로(SMILE Pro)
스마일프로(SMILE Pro)는 독일 Carl Zeiss사의 VisuMax 800 펨토초 레이저 시스템을 이용한 최신 스마일라식 업그레이드 버전입니다. 기본 수술 원리(각막 내 렌티큘 생성 및 적출)는 기존 스마일라식과 동일하지만, 레이저 속도 향상(500kHz → 2MHz), 정밀 보정 소프트웨어 도입 등으로 수술 시간이 크게 단축되고 결과의 정밀도를 높인 것이 특징입니다. 주요 특징과 장단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수술 원리 및 기술: VisuMax 800 장비는 이전 세대(VisuMax 500) 대비 레이저 펄스 반복률이 4배 높아 렌티큘 절삭을 10초 이내에 완료할 수 있습니다. 또한 CentraLign®, OcuLign® 등의 자동 중심정렬 및 회선보정 기능이 최초로 탑재되어, 술자가 각막에 표시한 표식을 맞추지 않아도 레이저가 동공중심과 난시축을 자동 보정합니다. 레이저 절삭 중 발생하는 기포(OBL)를 최소화하는 알고리즘이 적용되어 각막 혼탁(초기 미스트 현상) 발생을 줄였으며, 장비 디자인도 개선되어 흡입압이 낮으면서도 안정적인 흡입이 이루어집니다. 그 결과 수술 중 안구에 가해지는 부담이 감소하고, 절삭면 품질은 더욱 균질해졌습니다.
- 장점: 레이저 절삭 시간이 약 30초대 → 10초 미만으로 단축되어 환자와 수술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됩니다. 수술 시간이 짧아질수록 각막이 공기 중에 노출되는 시간이 감소하고 흡입 유지 시간이 줄어, 감염 위험과 환자 스트레스가 감소합니다. 환자는 짧은 집중으로 끝나므로 심리적 부담이 적고 협조도가 향상됩니다. 새로운 정렬 보정 기술로 난시 교정 정확도가 높아지고 중심 정렬이 정확해져, 고난시에서도 시력의 질이 향상된 것이 보고되었습니다. 실제로 스마일프로 시행 환자에서 수술 한달 후 Optical Scatter Index(OSI) 등이 기존 대비 개선되어 시야 맑음과 대비감 등이 향상되었다는 임상 보고가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기존 스마일라식 대비 시력 회복이 빠르고 선명도(시력의 질)가 좋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 단점: 최신 도입된 기술이므로 스마트라식과 마찬가지로 장기 추적 데이터가 제한적입니다. VisuMax 800은 2021년 하반기 유럽 CE 인증 후 보급되기 시작하여 한국 등에도 2023년 도입되었고, 미국 FDA 승인은 2024년에 획득하였습니다. 현재 임상 결과들은 주로 1년 이내 단기 경과로, 기존 SMILE과의 유의한 차이는 “초기 시력질 향상 및 고위수차 감소” 정도이며 장기 안정성은 기존과 동등한 것으로 보입니다. 비용 측면에서도 최신 장비 사용으로 수술비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다행히 장비 기술 자체는 SMILE와 동일 원리이므로 잠재적 부작용 프로파일은 SMILE와 거의 동일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전세계적으로 수술 건수가 아직 적어, 아주 드문 부작용 (예: 특이 렌티큘 미세잔여 등) 데이터는 추후 축적이 필요합니다.
- 임상 성능: “기존 스마일라식과 유사한 굴절교정 성적을 보이면서, 환자 경험은 개선되었다”는 것이 현재까지의 결론입니다. 예컨대 한 비교 연구에서 VisuMax 800으로 시행한 SMILE과 기존 500으로 시행한 SMILE의 1달 및 3달 시력·굴절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고 보고되었습니다. 두 그룹 모두 예측도 높고 안전하게 근시/난시가 교정되었으며, VisuMax 800 그룹에서 다만 수술 후 총 고위수차 증가량이 유의하게 적어 시야 질 측면의 이점이 관찰되었습니다. 환자 만족도에 직접 영향을 주는 야간 빛 번짐, 대비감 등도 개선 경향을 보인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비앤빛안과의 국내 임상 통계에서도 스마일프로 환자 대부분이 시력 1.0 이상을 달성하였고, 특히 고도난시 환자에서도 잔여난시가 거의 없이 깨끗한 시력을 얻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결국 단기 성적은 기존 스마일과 대등하며, 복원력과 시력의 선명도 면에서 향상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향후 수년 간의 추적 연구를 통해 이러한 개선점이 지속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임상 결과 및 예후 비교 (교정효과, 성공률, 합병증)
각 수술법의 근시·난시 교정 효율과 성공률, 안전성(합병증 발생률), 장기 예후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시력 교정 효과 및 성공률: 세 수술 모두 중등도 근시/난시 교정에 있어서 탁월한 효과를 보입니다. 스마일라식은 다수의 연구에서 라식에 필적하는 20/20 시력 달성률(90% 이상)과 높은 예측도를 입증했습니다. 스마트라식(SmartSight) 역시 1년 추적 시 93% 20/20 이상, 90% 이상 ±0.5D 이내 등 효능지표(Efficacy Index) 약 1.0으로 매우 우수합니다. 스마일프로도 초기 보고에서 기존 SMILE과 동등한 굴절교정 결과를 보여 성공률 면에서 차이가 없음을 시사합니다. 요컨대 세 수술 모두 약 90~95% 이상의 환자에서 목표 교정시력을 얻는 높은 성공률을 보이며, 수술 실패율은 극히 낮습니다. 다만 초고도근시 등에서는 교정한계가 있으므로 대상 환자 범위를 준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전성 및 합병증 발생률: 플랩을 생성하지 않는 공통점 덕분에 세 수술 모두 라식 대비 각막 관련 합병증이 적고 안전성이 높습니다. SMILE의 경우 보고된 중요 합병증 발생률이 매우 낮아 (예: 영구 시력저하나 감염 <0.1%), 가장 흔한 부작용인 일시적 안구건조증도 라식 대비 경미합니다. 수술 중 발생할 수 있는 렌티큘 분리 곤란, 부분적 캡 절개 등의 문제도 숙련도 향상으로 현재는 드문 편이며, 한 연구에서는 93.2%의 수술이 무합병증으로 진행되었다고 보고됩니다. 스마트라식과 스마일프로 역시 기본적으로 SMILE와 유사한 안전성 프로파일을 가집니다. 스마트라식은 현재까지 보고된 특별한 고유 합병증은 없으며, 각막 혼탁이나 엑타지아 등의 발생도 아직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스마일프로는 향상된 정렬 정확도로 중심이탈 등의 위험이 줄었고, 절삭시간 단축으로 각막 부종 및 염증 반응이 감소하여 초기 시력혼탁(haze) 발생이 적은 경향을 보입니다. 둘 모두 수술 후 각막신경 보존이 잘되어 건조증이 경미하다는 장점도 공유합니다. 결국 큰 범주의 합병증 발생률은 세 수술 모두 매우 낮아서 99% 이상의 환자에서 심각한 부작용 없이 회복되고, 수술 6개월~1년 시점에 교정시력 유지 및 각막 상태가 양호합니다.
- 장기 안정성(예후): 스마일라식은 10년 이상 장기추적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는데, 시간이 지나도 시력 및 굴절값의 안정성이 유지됨이 확인되었습니다. 10년 후 약간의 근시 퇴행이 있더라도 대개 -0.25D 내외의 경미한 수준이며, 효과지수와 안전지수가 초기와 유의차 없이 1.0 이상을 유지했습니다. 이는 스마일라식의 각막 구조 보존이 실제로 장기적인 결과 안정성에 기여함을 시사합니다. 스마트라식과 스마일프로는 도입 역사가 짧아 현재까지 2~3년 정도의 중기 데이터만 존재하지만, 현재까지 추적 결과 특별한 장기 부작용이나 의미있는 시력퇴행은 보고되지 않고 있습니다. 스마일프로의 경우 VisuMax 800 장비가 2021년 유럽 출시 후 수년간 임상에서 기존과 동등한 안정성을 보여 FDA 승인도 획득하였고, 향후 5년, 10년 데이터도 긍정적일 것으로 기대됩니다. 결론적으로 세 수술 모두에서 교정 효과의 장기 지속성이 우수하며, 특히 스마일라식 계열 수술들은 각막 약화나 재발율 면에서 기존 라식/라섹보다 유리하다고 평가됩니다.
항목 | 스마일라식 (SMILE) | 스마트라식 (SmartSight) | 스마일프로 (SMILE Pro) |
---|---|---|---|
교정 원리 | 각막 내 렌티큘 절개 후 2~4mm 미세절개로 추출 (플랩 없음) | 각막 내 렌티큘 절개 후 미세절개 추출 (SMILE과 동일 방식) | 각막 내 렌티큘 절개 후 미세절개 추출 (SMILE과 동일 방식) |
사용 레이저 | Zeiss VisuMax 500 (펄스속도 500kHz) | Schwind ATOS (SmartSight, 펄스속도 최대 4MHz) | Zeiss VisuMax 800 (SMILE pro 소프트웨어, 펄스속도 2MHz) |
안구추적/보정 | 별도 회선보정 없음 (흡입으로 고정) | 있음 – 동공 인식 자동 중심정렬 및 사이클로토션 보정 | 있음 – CentraLign 중앙정렬 및 OcuLign 축보정 기능 |
수술 소요시간* | 레이저 절삭 약 25~30초 | 레이저 절삭 약 10~15초 (고속 장비) | 레이저 절삭 <10초 (초고속 장비) |
장점 | 플랩 없음 → 건조증 적음, 각막안정성↑; 입증된 안정성 (15년, 수백만안) | SMILE 장점 계승 + 정밀도↑ (안구추적), 에너지↓; 렌티큘 분리 용이, 건조증 매우 적음 | SMILE 장점 계승 + 속도↑; 난시축 자동보정으로 시력질 향상, 회복 더 빠름 |
단점 | 초기 배우기 어려움; 기기당국 승인: 근시/난시만 (미국선 원시는 불가) | 도입 초기라 장기데이터 부족; 일부 지역 (미국 등) 미승인으로 접근성 제한 | 최신 장비로 비용 상승; 도입 초기로 장기데이터 부족 (향후 추적 필요) |
효과지수† | 약 0.96~1.0 (3개월); 1.02 (10년) | 약 0.99 (12개월 추정치, 초기연구) | 기존 SMILE과 유사 (동등한 시력결과) |
안전지수‡ | 약 1.03 (3개월); 1.33 (10년) | 약 1.0+* (12개월, 시력저하 거의 없음) | 기존 SMILE과 유사 (양호한 안전성) |
주요 합병증 | 드뭄: 캡 파열 (<1~2% 미만), 렌티큘 잔여편 (<0.5%) 등 – 대부분 재처치로 해결; 엑타지아 극희귀 | 드뭄: 현재까지 SMILE 대비 특이 합병증 보고 없음; 건조증 경미 | 드뭄: SMILE 대비 합병증률 동등 또는 감소 추정; 건조증 경미, 초기혼탁 감소 |
*레이저로 각막을 절개하는 시간(1안 기준)으로, 환자 준비 등 전체 수술시간은 이보다 약간 길 수 있음.
†효과지수(Efficacy Index) = 수술 후 나안시력 / 수술 전 교정시력 (1.0이면 교정 전 교정시력을 나안으로 달성).
‡안전지수(Safety Index) = 수술 후 교정시력 / 수술 전 교정시력 (1.0이면 수술로 인한 영구 시력저하 없음, 1.0 초과면 오히려 시력 개선).
글로벌 승인 현황 및 연혁
마지막으로 각 수술법의 미국, 한국, 일본, 유럽 등 인허가 승인 여부와 연혁을 정리합니다. 이는 해당 수술의 도입 시기와 공신력 있는 승인 현황을 보여주며, 환자에게 안전성과 유효성을 인정받은 범위를 시사합니다:
- 스마일라식 (SMILE):
- 미국 (FDA) – 2016년 9월 FDA 최초 승인 (근시 교정용); 2018년 적응증 확대 승인 (난시 동반 근시 포함). (현재 원시용은 미승인)
- 한국 (식약처) – 2012년 국내 첫 도입 및 시행. 당시 한국은 아시아 최초 VisuMax 도입국으로 적극 활용을 시작했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의료기기 승인을 통해 도입되었으며, 이후 2010년대 중반에 대중화되었습니다.
- 일본 (PMDA) – 2014~2015년頃 승인되어 주요 안과에서 도입되었습니다. (일본은 도입 초기에 임상시험을 거쳤으며, 2010년대 중반부터 SMILE 시행 보고가 있습니다.) 현재 일본에서도 SMILE는 공인된 시력교정술로 자리잡았습니다.
- 유럽 (CE 인증) – 2011년 유럽 CE 마크 획득 후 상용화. 2006~2007년 독일에서 첫 시술 후 다수의 임상을 거쳐, 2011년 VisuMax 기반 ReLEx SMILE 상용 출시와 함께 유럽 전역에 도입되었습니다.
- 스마트라식 (SmartSight):
- 미국 (FDA) – (미승인) 2025년 현재 미국에서는 SmartSight/ATOS 장비가 FDA 승인을 받지 못했습니다. 이는 Zeiss의 SMILE 특허 등의 이유로 추정되며, 아직 미국 내 임상사용은 제한적입니다.
- 한국 (식약처) – 2022년 경 식약처 승인 및 국내 첫 도입. 국내 몇몇 안과에서 2022년부터 Schwind ATOS를 도입하여 “스마트라식”을 시행하기 시작했습니다. 한국은 아시아권에서 비교적 빠르게 SmartSight를 받아들인 사례로, 현재 (2025) 일부 전문안과에 장비가 구축되어 있습니다.
- 일본 (PMDA) – (미승인) 2025년 현재 일본에서는 공식 승인 또는 도입 보고가 거의 없습니다. (Zeiss와 특허 이슈 등으로 추정)
- 유럽 (CE 인증) – 2020년 7월 CE 승인 획득. Schwind ATOS 레이저와 SmartSight 수술법은 2020년 유럽 인증을 받아 독일, 스위스 등을 중심으로 사용이 시작되었습니다.
- 스마일프로 (SMILE Pro):
- 미국 (FDA) – 2024년 1월 11일 VisuMax 800 장비 및 SMILE pro 소프트웨어 FDA 승인. 이를 통해 미국에서도 최신 스마일프로 수술이 가능해졌습니다. (근시 및 난시 교정용으로 승인)
- 한국 (식약처) – 2023년 VisuMax 800 장비 국내 도입. 2023년 중순부터 일부 안과에서 스마일프로 시술을 개시하였으며, 식약처의 허가를 거쳐 사용 중입니다. 한국은 아시아에서 중국 다음으로 비교적 신속히 해당 기술을 받아들였습니다.
- 일본 (PMDA) – (승인 진행 중) 2024년 현재 일본에서는 VisuMax 800의 승인이 진행 중이거나 임상 도입을 준비 중인 단계로 파악됩니다. (일부 일본 안과에서 2024년 “SMILE pro 도입 예정” 발표 사례가 있습니다.)
- 유럽 (CE 인증) – 2021년 하반기 CE 인증 및 유럽 출시. 2021년부터 유럽 일부 클리닉에서 VisuMax 800을 도입, 2022년부터 본격 상용화되었습니다.
수술법 | 미국 (FDA) 승인 | 한국 (MFDS) 승인/도입 | 일본 (PMDA) 승인 | 유럽 (CE 인증) |
---|---|---|---|---|
스마일라식 | 2016년 승인 (근시), 2018년 확대 | 2012년 도입 | 2010년대 중반 승인 (추정) | 2011년 인증 |
스마트라식 | 미승인 (2025년 현재) | 2022년경 도입 | 미승인 (2025년 현재) | 2020년 인증 |
스마일프로 | 2024년 승인 | 2023년 도입 | 승인 진행 중 (미도입) | 2021년 인증 |
*일본 PMDA 승인의 정확한 연도는 공개 자료가 제한적이며, SMILE는 2010년대 중반에 도입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SmartSight/SMILE Pro는 일본에서 아직 본격 도입 전입니다.
결론 및 권고
스마일라식(SMILE), 스마트라식(SmartSight 기반), 스마일프로(SMILE Pro)는 모두 각막 절편 없이 렌티큘을 추출하는 최첨단 시력교정술로서, 중등도 근시와 난시 교정에 매우 높은 효과와 안정성을 보입니다. 3~5D 근시 및 1~2D 난시를 지닌 20대 환자에게 세 수술법은 모두 적용 가능하며, 각 방법의 기술적 차이에 따라 약간의 장단점과 최신성의 차이가 있습니다.
요약하면: 안정성과 검증된 실적을 중시한다면 스마일라식이 여전히 표준으로서 오랜 기간 입증된 믿을 수 있는 선택지입니다. 스마트라식은 최신 기술로 정밀교정과 환자 편의성이 향상된 만큼 난시가 있거나 시력의 질을 극대화하고 싶은 환자에게 매력적입니다. 스마일프로는 가장 발전된 형태로 수술 시간이 단축되고 초기 회복이 빠르며 난시 교정의 정밀도가 뛰어나 최고의 시력 만족도를 추구하는 경우 적합합니다. 다만 스마트라식과 스마일프로는 도입 역사가 짧으므로 수술 경험이 풍부한 의료진과 충분한 상담을 거쳐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끝으로, 환자 개인의 눈 상태(각막 두께, 모양 등)와 생활 환경(직업, 선호도)을 고려한 맞춤 추천이 중요합니다. 세 수술 모두 시력교정 효과는 탁월하므로, 안과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가장 적합한 수술법을 선택하면 될 것입니다. 이 보고서의 비교 결과가 역선택을 방지하는데 기여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참고 문헌:
주요 임상 연구 및 공식 자료를 통해 상기 내용을 작성하였으며습니다. 특히 FDA/CE 승인 정보는 관련 보도자료를, 임상 결과 비교는 최신 학술 논문(예: Friske et al 2022, Pradhan et al 2023, Cao et al 2024 등)을 참고하였습니다.
면책 조항
본 보고서는 시력교정술(스마일라식, 스마트라식, 스마일프로)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비교 분석한 것입니다. 이 정보는 의학적 조언을 대체할 수 없으며, 개별 환자의 특정 상태나 필요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의료 상담의 중요성: 본 보고서의 내용은 어떠한 경우에도 전문 의료기관의 진단, 상담, 치료 계획을 대신할 수 없습니다. 시력교정술을 고려 중인 환자분께서는 반드시 안과 전문의와 충분한 상담을 통해 자신의 눈 상태, 건강 이력, 예상 결과, 발생 가능한 부작용 등에 대해 정확한 진단을 받고 개인에게 가장 적합한 수술 방법을 결정해야 합니다.
정보의 한계: 보고서에 포함된 임상 데이터, 성공률, 합병증 발생률 등은 특정 연구 결과나 현재까지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며, 모든 경우에 동일하게 적용된다고 보장할 수 없습니다. 특히 최신 기술(스마트라식, 스마일프로)의 경우 장기 추적 데이터가 제한적일 수 있음을 인지해 주시기 바랍니다.
개인의 책임: 본 보고서의 정보를 바탕으로 내리는 모든 의료적 결정은 전적으로 본인의 책임이며, 본 보고서는 그로 인해 발생하는 어떠한 직간접적인 결과에 대해서도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궁금한 점이 있다면 안과 전문의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